들어가기에 앞서,
사모펀드(PEF, Private Equity Fund)는 투자자측면에서 투자대상이 되는 시장을 1차 시장과 2차 시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1차 시장은 Primary market(프라이머리 시장), 2차 시장은 Secondary market(세컨더리 시장)라고 합니다.

세컨더리 투자란?
세컨더리(Secondary) 투자는 신규로 설정된 펀드들 중에서 어느 정도 포트폴리오가 구축되어
투자자 출자가 완료된 펀드에 대해, 해당 펀드의 투자자 지분을 거래하는 투자를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는 펀드 지분에 대한 매매를 의미했으나, 현재 거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지분 뿐만아니라 개별 자산 또는 포트폴리오 일부를 거래하는 경우도 포함됩니다,
즉, 간단히 설명하자면 1차적으로 잘 구축된 포트폴리오를 2차적으로 매매한다라고 볼 수 있는데,
잘 구축된 포트폴리오인데도 불구하고 기존 프라이머리 펀드는 왜 세컨더리 펀드에 매각을 하려는 걸까요?
이유는 다양합니다.
투자자(LP) 성향 상 현금이 조기에 필요하다던지, 포트폴리오 재조정 또는 투자 전략을 수정한다던지...
그럼 세컨더리 펀드 투자는 왜 하는 것일 까요? (세컨더리 펀드의 장점)
1) 투자가 완료되어 포트폴리오가 구축된 상황이므로, J커브를 완화하여 투자금 회수가 용이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대체투자는 주식 투자에 비해 긴 투자 기간과 낮은 유동성을 가져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데,
세컨더리 투자는 투자 기간과 유동성 측면에서 유리한 거죠.
2) 순자산가치 대비 할인된 가격에 매입이 가능함에 따라 프라이머리 펀드 대비 손실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좋은 것만 있는게 아닙니다.
세컨더리 펀드의 리스크는 뭘까요?
세컨더리펀드의 가장 큰 리스크는 바로 앞서 말한 할인율 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08년) 이후 자산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세컨더리 시장에서 양질의 투자건에 대한 매입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이로인해 할인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게 현실이죠.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입할 포트폴리오 검토 등을 통해 손실 가능성에 대해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즉, 낮은 할인율로 인해 세컨더리 펀드의 포트폴리오의 순자산가치 하락 시 손실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겁니다.
(세컨더리 펀드의 장점이 축소되었다는 거죠...)
아래는 관련 기사입니다.
[시그널] 당근마켓·직방도 싼값에 투자…'LP 세컨더리 펀드' 뜬다
산업 > 중기·벤처 뉴스: 벤처 생태계의 성장과 함께 회수시장 활성화가 화두가 된 가운데 국내 벤처투자업계에서 '출자자(LP) 지분 유동화 세컨더리펀드'(LP 세컨더리펀드)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www.sedaily.com
이해하시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잡학다식(경제, 경영,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집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 깡통전세 우려 (1) | 2022.10.11 |
---|---|
[10/4 기준] 최고 3.65%대 파킹통장 금리 및 은행 추천 / TOP 8 (2) | 2022.10.04 |
2022년 연봉 실수령액 (0) | 2022.09.30 |
쉽게 설명하는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0) | 2022.09.29 |
대출형 사모펀드, 사모대출 펀드(Private Debt Fund) 1탄 - 정의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