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이유는 뭘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입니다.
당연하게도 자금이 있어야 장비도 사고, 공장도 건설하고,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매출을 올릴 수 있죠.
혹은 기존에 채무가 많다면 이를 상환하기 위해서도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위 그래프는 대기업, 중소기업의 기업자금 조달 금액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기업의 직접금융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대기업의 자금조달 규모는 '1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게 보이네요.
국내 기업들의 자금조달관련 현황은 아래의 링크에서 다양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https://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2732&board_cd=INDX_001
기업자금조달 현황 : 지표상세화면
배경색 이미지가 나오지 않을경우 이렇게 해주세요. 도구 - 인터넷옵션 - 고급 설정에서 (배경색 및 이미지 인쇄)에 체크 익스프로 : 파일 > 페이지 설정 > 배경색 및 이미지 인쇄에 체크 기업자금
index.go.kr
상장(IPO)말고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또 뭐가 있을까요?
대표적인 기업의 자금조달 방법에는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습니다.
1. 금융기관 차입
- 빠른 자금조달이 가능하나, 이자 및 단기 상환 부담이 존재합니다.
-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2. 채권발행
- 장기 자금 조달 방식으로 단기부채 대비 상환 부담이 낮습니다.
- 하지만 마찬가지로 이자 부담이 존재합니다.
-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3. 유상증자
-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고 파는 것으로
- 앞서 금융기관 차입 및 채권발행과 달리 부채의 증가 없이 단기자금 조달이 가능합니다.
- 다만 주식수가 증가하게 되어 주가에는 단기적으로 악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아래의 관련 기사를 참고하세요.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9/845089/
경기불안에 기업 자금조달 '찬바람'…9월 회사채발행 60% 감소
회사채·국고채 스프레드 확대…"연말까지 관망세"
www.mk.co.kr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950
8월 기업 자금조달 20.9조원…전월比 2.0% 감소 - 스트레이트뉴스
지난달 기업들의 직접금융 조달 규모가 전월보다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은 유상증자 건수 및 금액이 감소함에 따라 전월 대비 발행 규모가 줄었다. 회사채 또한 발행 규모가 감소했
www.straightnews.co.kr
'잡학다식(경제, 경영,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집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 깡통전세 우려 (1) | 2022.10.11 |
---|---|
[10/4 기준] 최고 3.65%대 파킹통장 금리 및 은행 추천 / TOP 8 (2) | 2022.10.04 |
2022년 연봉 실수령액 (0) | 2022.09.30 |
대출형 사모펀드, 사모대출 펀드(Private Debt Fund) 1탄 - 정의 (0) | 2022.09.29 |
세컨더리 펀드(Secondary Fund)가 뭘까요? (2) | 2022.09.28 |